라벨이 진위문제인 게시물 표시

유리수(1) 분수와 유리수

이미지
분수와 유리수 fractions & rational numbers "분수와 유리수는 같은 뜻인가요? " " Is every rational number a fraction?  " 분수(分數, fraction)는 그 표현의 모호성 때문에  정수, 유리수 또는 무리수와 같은 엄밀한 수학적 용어로 사용하기에는 조금 무리가 있습니 다 . 뿐만 아니라, 한국어권과 영미권 사이에서  분수(分數, fraction)의  뜻과 정의가 서로 다르게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그  차이를 정확하게 이해해 둘 필요가 있습니다. 분수(分數)와 소수(小數)는  유리수인지 혹은 아닌지를 혼동하는 학생들이  과거에 비해  의외로 많습 니다 . 이 내용과 관련된  진위의 판단을 어려워 하는 것을 보면 ,  아마도 기본적인  집합과 명제의 개념을 배우지 못하는 개정표준교과의 영향 인 것으로 보입니다 . 표준교과 외의 내용이기는 하나 ,  기초적인 집합과 명제의 개념은 상위 수준의 수학을 공부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기본 개념이니까 ,  정확한 기초 개념과 원리를 이해해 두기 바랍니다 . ♧     ♧     ♧     ♧     ♧     ♧ 분수(分數)는  '분수형태'라는 넓은 의미의 뜻으로도 사용이 될 수 있고, 영미권에서는   분수(fraction)란 0을 포함하되 두 자연수의 비(율)을 분자와 분모의 형식으로 표현한 수라는 좁은 뜻으로도 사용되기도 하므로 경우를 나누어 자세하게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 1 ]  분수(分數)를 분자와 분모로 나타내는 '분수형태'라는 넓은 의미의 뜻으로 사용할 때, 무리수 단원에서는 ' √3  /  √2 의 분모를 유리화한다' 라는 표현을 자연스럽게 사용하고 있...

행렬(7) AB+A+B=O 인 행렬

AB+A+B=O 인 행렬 matrices such that AB+A+B=O " 심화문제에서는 약방에 감초같이 등장해요 " " a ubiquitous equation  in advanced level exams " 방정식   AB + A + B = O   는   심화수준의   중고등수학   전   과정에서   약방의   감초같이   자주   등장하는   매우   중요한   조건식입니다 . [ 부정방정식 ], [ 근과   계수의   관계 ]  단원뿐만이   아니라 , [ 분수식 ]  과   [ 분수함수 ]  등   모든   단원의   심화수준   연계유형으로   출제되고   있으니 ,  기본개념과   원리를   철저하게   이해하고 ,  응용력을   키워두기   바랍니다 . [ 행렬 ]  단원에서도   심화수준의   진위문제   유형에서 ,  출제의도를   숨기는   조건   제시방법으로   자주   나타납니다 .   반드시   기억해   두기   바랍니다 . 1 등급의   상위권   학생이라   하더라도 ,  행렬의   진위문제 는   실수범위   내에서의   연산과는   다르기   때문에   많은   유형들을   암기해   두어야 만 ,   쉽고   빠르게   문제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