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5월 31일 화요일

제곱근(8) 이중근호 풀어내기






이중근호 풀어내기
denesting nested radicals (1)


"이중근호를 풀어 간단하게 정리하면 계산하기도 쉽고 보기도 좋아요"
" denested simple radicals’re looking good & easy to calculate "







이중근호는 표준교과과정의 범위는 아니지만, 무리수를 계수로 갖는 이차방정식의 해를 구하거나 특수각이라 있는 sin15° 등의 삼각비를 구하는 때에 나타납니다.

가능한 경우에는 이중근호를 간단하게 정리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므로 교과 외의 참고학습 정도로 익혀두면 좋을 듯 합니다.

앞의 제곱근의 성질에서 배웠던 (A²) = |A| 이용하는 것이므로 크게 어려운 내용은 아닙니다. 

참고로, 심화수준에서는 이차항이 없는 삼차방정식의 일반적인 근의 공식으로 구한 해를 간단히 하거나, 고차 유리함수의 적분식을 간단히 정리할 때 활용되기도 합니다.




               




이중근호를 가진 무리수 √(5 + 26)을 한번 관찰해 보도록 할까요?



제일 바깥쪽 루트기호 안의 값인 5 + 26을 자세히 살펴보면,

5 + 2= (3 + 2) + 2(3 * 2) 이니까,

제곱수의 형태라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5 + 26)

√(3 + 26 + 2)

√{3 + 2√(3 * 2) + 2}

√{(3)2 + 2√(3 * 2) + (2)2}

√{(3)2 + 2 * √3 * 2 + (2)2}

(+ 2)2



여기서, 앞의 제곱근의 성질에서 배웠던 (A²) = |A| 이용하면

= 3 + 2로 이중근호를 풀어낼 수 있습니다.




이제, 5 = (3)2 + (2)2이고 √6 = 3 * √2라는 점을 기억하면서,
이 내용을 문자를 사용해서 일반화시켜 볼까요?

   {A B + 2√(A * B)}

√(√A2 B2 + 2 * √A * B)

(√A B)2

= | √A ( A > 0, B > 0 일 때 )





보기 문제를 하나 풀어 보도록 하지요.

√(7 + 2√10) = ?


이중근호 안의 무리수가

7 = 5 + 2 = (5)2 + (2)2이고 10 = 5 * 2이므로


 √(7 + 2√10)

√(5 + 2 + 2√10)

√{(5)2 + (2)2 + 2√(2 * 5)}

√{(5)2 + 2 * √5 * 2 + (2)2 }

(5 + 2)2

= | 
5 + |

= 5 + 2




이번에는 뺄셈이 있는 이중근호를 간단한 형태로 풀어내 보도록 할까요?

√(8 - 2√15) = ?



뺄셈이 있는 이중근호 안의 무리수 8 - 2√15 에서

8 = 3 + 5 = (3)2 + (5)2이고 15 = 3 * 5이므로,



 √(8 - 2√15)

√{(3 + 5) - 2√(3 * 5)}

√{
(3)2 + (5)2 - 2 * √3 * 5}

(3 - 5)2

= | 3 - | = 5 - 3


절대값은 항상 (+)이어야 하니까 풀이와 같이 맨 마지막 단계에서 절댓값을 풀어 답을 구할 때 실수가 없도록 주의해야겠지요? 자칫 방심하면 이중근호를 다 풀어 놓고도 마지막에3 - 5 라고 틀린 답을 구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중근호를 풀 때는 덧셈이나 뺄셈에 관계없이 항상 큰 수가 앞에 그리고 작은 수가 뒤에 있도록 미리 순서를 정한 다음, 계산해 나가는 것이 실수를 줄이기 위한 팁입니다.




뺄셈이 있는 이중근호를 간단한 형태로 풀어낼 때 주의해야 할 점을 꼭 기억해 두도록, 비슷한 예제를 하나 더 풀어 보도록 하지요.

√(9 - 2√14) = ?



뺄셈이 있는 이중근호 안의 무리수 9 - 2√14 에서

9 = 2 + 7 = (2)2 + (7)2이고 14 = 2 7이므로,


 
   √(9 - 2√14) = ?

항상 큰 수가 앞에 그리고 작은 수가 뒤에 있도록 하는 것이 좋겠지요?

√{(7 + 2) - 2√(7 * 2)}   

√{
(7)2 + (2)2 - 2 * √7 * 2}

(7 - 2)2

= | 7 - | = √7 - √2




뺄셈의 경우도 문자를 사용해서 일반화시켜 볼까요?


   {A B - 2√(A * B)}

√(√A2 B2 - 2 * √A * B)

(√A B)2

=  ↱  √A | ( A > B > 0 일 때 )
    ↳  √B | ( B > A > 0 일 때 )








Solution  2034 1.  평행선과 동위각, 엇각      위의  소제목에 링크된 페이지에서 설명하는 동위각과 엇각을 잘 이해하셨나요?       서로 다른 두 직선이 한 직선과 만날 때, 두 직선이 평행하면 동위각의 크기는 서로      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