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3월 31일 일요일

수열(2) 등차수열

  

등차수열
arithmetic sequences


"등차수열은 계차가 항상 똑같은 값이군요"
" the first difference is always the constant "








등차수열은 초등산수 시절부터 배우는, 수의 규칙성을 찾는 유형 중에서 가장 기초적인 수열입니다.

그러나 나열된 숫자들을 보고 수열의 규칙이나 패턴을 잘 찾아내던 학생들도 조금 복잡해진 단계의 유형들을 해결하는 데는 다양한 어려움을 겪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높은 수준의 문제를 해결해 내기 위해서는 일반화된 수열의 일반적인 제 n 항까지, 그리고 공차 d 등의 문자로 표현되는 원리와 기본개념을 정확하게 익혀 두어야, 앞으로 배우는 계차수열이나 급수 등의 상위 개념을 어려움 없이 공부해 낼 수 있습니다.

특히, 뒤에서 배우게 될 여러가지 수열의 점화식 등에서도 자주 활용되는 기본 개념이므로, 응용력을 철저히 익혀두기 바랍니다.






               






앞에서 공부했던 수열을 복습해 보도록 할까요?


예를 들어, 2, 5, 8, 11, 14, ... 와 같이, 계차가 + 3 으로 일정한 상수값을 갖는 수열을 등차수열이라고 하고, 이 때의 계차를 공차라고 한다는 것을 앞에서 배웠습니다.


이 등차수열의 구조를 조금 더 자세히 살펴 보도록 할까요?


2,     5,     8,    11,   14, ...
                       
+ 3   + 3    + 3   + 3      

a1 = 2
a2 = 2 + 3
a3 = 2 + 3 + 3
a4 = 2 + 3 + 3 + 3

  an = 2 + 3 x (n  1)


위에서 보는 것과 같이, n 번째의 일반항인 an 은 첫째 항인 a1 에다가 (n – 1) 개의 공차를 더하는 방법으로 구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내용을 일반화해서 공식으로 정리하도록 할까요?





등차수열 { an } 첫째항을 a1, 공차를 d 라고 하면, n 째의 일반항 an 아래와 같이 구한다.

an = a1 + (n – 1) d






보기 문제로, 아래의 수열에서 10 번째 항과 제 n 번째 항을 구해 보도록 합시다.


(1) 8,  3, – 2, – 7, – 12, ...

a1 = 8,   d = – 5

  an = 8 + (n 1) x (– 5) = 13 5n

  a10 = 8 + (10 1) x (– 5) = 37




(2) 17, 14, 11, 8, 5, ...

a1 = 17,   d = – 3

  an = 17 + (n 1) x (– 3) = 20 – 3n

  a10 = 17 + (10 1) x (– 3) = 10






그러면, 연습문제들을 풀어 보도록 할까요?





공차가 3 이고 11 항이 28 등차수열의 째항을 구하여라.




(1) 우선, 주어진 내용을 기호를 써서 식으로 나타내 볼까요?

 d = 3                                 
↳ a11 = a1 + (11 – 1) x d = 28 



(2) 미지수 2 개와 서로 다른 2 개의 연립방정식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대입법]   ⇒ ②  :

a1 + (11 – 1) x 3 = 28

∴  a1 = – 2








5 항이 28 이고 17 항이 88 등차수열의 째항을 구하여라.




(1) 우선, 주어진 내용을 기호를 써서 식으로 나타내 볼까요?

 a5 = a1 + (5 – 1) x d = 28     
↳ a17 = a1 + (17 – 1) x d = 88 



(2) 미지수 2 개와 서로 다른 2 개의 연립방정식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가감법]   :

(16 – 4) x d = 60

d = 5 



[대입법]   ⇒ ① :

a1 + 4 x 5 = 28

∴  a1 = 8








등차수열을 이루는 자연수 a, b, c 아래의 조건을 만족할 ,
 그 자연수 a, b, c 구하여라.

 a + b + c = 12       
↳ a2 + b2 + c2 = 66  





(1) 자연수가 등차수열을 이룬다고 했으니까,

a + c = 2b  


(2) 이제, 식을 주어진 식에 대입하면,

[대입법]   ⇒ ① :

b + 2b = 12

∴  b = 4



(3) 따라서, 공차를 d 이용해서 a c 바꿔준 다음,

a = 4 d

c = 4 + d


(4) 이를  식에 대입하면[대입법]

(4 d)2 + 42 + (4 + d)2 = 66

– 8d + 2 + 8d + 2 = 18

2 = 9

∴  d = ±3


∴  (a, b, c) = (1, 4, 7)  or  (7, 4, 1)






Solution  2034 1.  평행선과 동위각, 엇각      위의  소제목에 링크된 페이지에서 설명하는 동위각과 엇각을 잘 이해하셨나요?       서로 다른 두 직선이 한 직선과 만날 때, 두 직선이 평행하면 동위각의 크기는 서로      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