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6월 30일 수요일

이차함수(4) 이차함수와 판별식




이차함수와 판별식
discriminant to describe quadratic function


"별식만으로도 포물선의 위치가 저절로 떠올라요"
discriminant formula automatically
reminds me of the position of the parabola "



  




이차함수 그래프의 위치 관계와 판별식은 중등 심화과정과 고등과정의 이차 함수와 포물선, 최대값 최소값 등의 단원에서, 연계형 유형으로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포물선과 직선, 원과 포물선 또는 원과 직선 이차식으로 표현되는 그래프들 간의 위치 관계나 최대값  최소값 구하는 핵심적인 개념이며 원리입니다.

가급적 쉽게 기초부터 설명할 예정이니, 철저하게 원리를 이해하고, 응용력을 키워 두어야 합니다.





               






포물선의 모양을 갖는 이차식 y = ax² + bx + c 그래프를 x 축과의 위치 관계로 나타내면 어떤 종류들이 있을까요?


만일 a 양수 (+) 라고 한다면, 아래의 그림과 같이 (a) 점에서 만나는 빨간색 (b) 점에서 접하는 검은색 그리고 (c) 만나지 않는 파란색 포물선의 3 가지 경우로 나누어서 생각해 있겠지요?







[ A ] x 축과 점에서 만난다


먼저, 빨간색 포물선 y = ax² + bx + c (> 0)  x 축과 만나는 A B 좌표를 구해 보도록 할까요?


(1) x 축의 방정식이 y = 0 이니까, 포물선과 x 축의 그래프를 연립으로 하는 이차방정식 ax² + bx + c = 0 풀어야 하겠지요?


(2) 앞의 이차방정식에서 배운대로 ax² + bx + c = 0 근은, 근의 공식을 이용하면,

x = { ± (b2 – 4ac)} / 2a


(3) 그런데, 항상 – – (b2 – 4ac) – (b2 – 4ac)  성립하니까> 0 일 때, 두 A B 좌표를 구해보면,
  
A = ( –  (b2 – 4ac)} / 2, 0 )
B = – + (b2 – 4ac)} / 2, 0 )


(4) , A B 서로 다른 점이니까, 루트기호 안의 값인 판별식 (D) = b2 – 4ac (+) 값을 가져야 하겠지요?





[ B ] x 축과 접한다


그러면, 검은색 포물선 y = ax² + bx + x 축과 만나는 C 좌표는 어떻게 될까요?


(1) 위에서 구한 –  (b2 – 4ac)} / 2a  –  (b2 – 4ac)} / 2a  점점 모아져서 하나로 합쳐지는 점이겠지요?


(2) 따라서, 두 근의 좌표에서, 루트기호 안의 값인 판별식 (D) = b2 – 4ac 0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C 좌표는 – /2, 0) 됩니다.





[ C ] x 축과 만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파란색 포물선 y = ax² + bx + c x 축과 만나지 않으니까, 이차방정식 ax² + bx + c = 0 실수값의 해를 가지지 않는 것이겠지요?


(1) 두 근의 좌표에서, 루트기호 안의 값인 판별식 (D) = b2 – 4ac  음수 (–) 가  되어, x 좌표는 허수 값을 갖게 되고,

(2) 따라서, 실수의 좌표 평면에서는 값 즉, 두 근의 위치를 나타낼 없다는 뜻이 됩니다.





이제 그러면, 지금까지 공부한 내용을 일반화시켜서 정리해 볼까요?




위의 도표는 이차함수로 표시되는 포물선 그래프와 축과 위치 관계와 관련하여 앞으로도 다양하게 응용되니까, 그래프의 모양과 함께 반드시 기억해 두기 바랍니다.




뒤에서 자세히 설명할 예정이지만, 예를 들자면, 이차의 절대 부등식에서도 활용됩니다. 이와 관련된 보기 문제를 하나 보도록 할까요?





모든 실수 x 대하여, 이차 부등식 ax² + 4x + a < 0 항상 성립하기 위한 a 값의 범위를 구하여라.




(1) 위에서 정리해 두었던 도표에서, 가장 아래 칸에 있는 포물선 그래프의 위치에 해당하는 내용을 기억해 내야 되겠지요?


(2) a < 0 그리고 동시에 () D < 0 조건을 만족해야 하니까,

a < 0


(3) , D/4 = 4 – a2 < 0 에서,
a < – 2  or  a > 2



(4) 따라서, 연립으로 풀면,

답은 a < – 2





뿐만 아니라, 다음에 설명할 포물선과 직선의 위치관계 등에서도, 이번에 배운 똑같은 원리가 그대로 적용됩니다.


확실하게 이해해 두고, 앞으로 배우게 다양한 유형에서 활용할 있도록 철저하게 복습해 두기 바랍니다.




  

Solution  2034 1.  평행선과 동위각, 엇각      위의  소제목에 링크된 페이지에서 설명하는 동위각과 엇각을 잘 이해하셨나요?       서로 다른 두 직선이 한 직선과 만날 때, 두 직선이 평행하면 동위각의 크기는 서로      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