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6월 30일 화요일

이차함수(2) 이차함수의 그래프(2)





이차함수의 그래프(2)
quadratic function graphs


"포물선 그래프는 물리학, 공학
경제학, 경영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돼요"
" The graph of parabola is used in various field
such as physics, engineering, economics and bysiness "












이차함수의 그래프는 중 3 과정뿐만 아니라고등과정의 이차 방정식 및 미적분 등에 이르기까지, 중 고등수학 전 과정에서 연계형 유형으로 다양하게 응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개념입니다.

수학실력의 차이는함수와 그래프에서 비롯된다고 할 정도로 중요하니기초부터 확실하게 익혀 두기 바랍니다.


이 단원에서도아주 쉽게 기초부터 친절하게 설명할 예정이니철저히 이해하고 응용력을 키워 두어야 합니다.

다시 강조하지만문과라 하더라도고등과정의 다항함수의 미적분까지 중고등수학 전반에서 활용되는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앞에서 배운, 이차함수의 그래프인 포물선ax² 을 잘 기억하고 있지요?

이번에는이 포물선을 [그래프의 평행이동]과 관련 지어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지요.



우선, 지난 2 월에 배웠던 [함수 그래프의 평행이동]을 다시 복습해 볼까요? 설명했던, 청개구리 성질이 기억 나나요?

───────────────────────
  y = f (x) 라는 함수의 그래프가 주어졌을 때,

 (1) x 대신에 x – α 를 대입한  y = f (x – α) 의 그래프는
       y = f (x)의 그래프를 오른쪽으로 α 만큼 평행이동

 (2) y 대신에 y – β 를 대입한 y – β = f (x)
      즉,  y = f (x) + β 의 그래프는 y = f (x의 그래프를
      위쪽으로 β 만큼 평행이동
───────────────────────




[ A ]  = a (x – α 의 그래프


예를 들어, (1) = 2(x 2)²  과  (2) = 2(x + 3)² 의 그래프는 어떻게 그릴까요?

앞에서 복습한, [함수 그래프의 평행이동]의 성질을 이용하면 아주 쉽게 그릴 수 있습니다.


최초의 포물선 그래프를= 2x² 이라고 놓으면,


(1) = 2(x 2)² 는 원래의 함수 식에서, x 대신에 x – 2 를 대입한 것이므로,
아래 그림에서의 파란색 포물선과 같이 오른쪽으로 2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겠지요?





(2) 똑같은 평행이동의  원리로, = 2(x + 3)² 는 원래의 함수 식에서 x 대신에 x + 3  대입한 것이므로, 위 그림에서의 빨간색 포물선과 같이 왼쪽으로 3 만큼 평행이동
따라서 포물선 축이 x = – 3 겠지요?




[ B ]  = ax² + β 의 그래프


이번에는, (1) = – x²    (2) = – x² + 2 의 그래프도, [함수 그래프의 평행이동]의 성질을 이용해서, 쉽게 그릴 수 있습니다.


최초의 포물선 그래프를= – x² 이라고 놓으면,


(1) = – x² 1 은 원래의 함수 식에서, y 대신에 y + 1 을 대입한 것이므로, 아래 그림에서의 빨간색 포물선과 같이 아래쪽으로 1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겠지요?




(2) ,  = – x² + 2 는 = – x² + 2. 즉, 원래의 함수 식에서, y 대신에 y 2 를 대입한것이므로, 위 그림에서의 파란색 포물선과 같이 위쪽으로 2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겠지요?





[ C ]  = a (x – α + β 의 그래프


이제, 앞에서 배운 것을 종합하면, 위 함수식의 그래프는 아주 쉽게 그릴 수 있겠지요? 최초의 포물선을= ax² 이라고 놓고, [함수 그래프의 평행이동]의 성질을 이용하면 됩니다. 

최초의 포물선 함수식 = ax² 에서, x 대신에 x – α 를 대입하고 그리고 동시에( )
 y 대신에 y – β 를 대입한 그래프이므로, = ax² 의 포물선 그래프를 오른쪽으로 α 만큼
 평행이동 그리고 동시에( ) 위쪽으로 β 만큼 평행이동한 것이지요.


(1) 따라서, 포물선의 축은 = 0 에서 = α 로 바뀌게 되고

(2) 포물선의 꼭지점은 (0, 0) 에서 (α, β) 로 바뀌게 됩니다.





[ D ]  = ax² + bx + c 의 그래프


이제, 일반적인 = ax² + bx + c 로 주어지는 이차함수의 그래프는, 위에서 공부한 대로  = a (x – α + β 의 꼴로 바꾸기만 하면, 최초의 포물선을= ax² 이라고 놓고,
[함수 그래프의 평행이동]의 성질을 이용해서, 아주 쉽게 그릴 수 있겠지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서, = 2x² – 12x + 19 의 그래프를 그려 볼까요?


(1) 우선, 함수 식을 = a (x – α + β 완전제곱의 꼴로 고쳐야,
      [함수 그래프의 평행이동]의 성질을 이용할 수가 있겠지요?

   y = 2x² – 12x + 19
= 2(x – 3)² + 1

y – 1 = 2(– 3)² 


(2) 최초의 함수식 = 2x² 에서, x 대신에 x – 3 그리고 동시에∩ )
       y 대신에  y – 1 를 대입한 것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아래 그림과 같이 꼭지점 (0, 0) 에서 (3, 1) 로 평행 이동한
      빨간색 포물선이 됩니다.








문자를 써서, 이 내용을 일반화시켜 볼까요?


(1) 우선, 함수식 ax² bx + 을  = a (x – α + β 완전제곱의 로 고쳐야 하겠지요?
  y ax² + bx + c
            = a{x² + (b/a)x} + c
            = a{x²(b/a)x + (b/2a)²} +
            = a{x + (b/2a)}² + β


(2) 따라서, 최초의 함수식인 = ax² 에서, x 대신에 x + b/2a 그리고 동시에 y 대신에
    yβ 를 대입한 것이니까꼭지점 (0, 0)에서 (– b/2a,  β)로 평행이동한 포물선이 됩니다.




참고로, 문자로 일반화 했을 때에는, 축의 방정식 = – b/2a 또는 꼭지점의 좌표만을 기억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꼭지점의 좌표까지 공식으로 외우는 것은 불필요한 시간과 노력의 낭비일 뿐이며, 숫자로 주어진 경우에만 대입, 계산하여 필요한 답을 구하면 됩니다.





Solution  2034 1.  평행선과 동위각, 엇각      위의  소제목에 링크된 페이지에서 설명하는 동위각과 엇각을 잘 이해하셨나요?       서로 다른 두 직선이 한 직선과 만날 때, 두 직선이 평행하면 동위각의 크기는 서로      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