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수와 배수(4) 유클리드 호제법

이미지
    유클리드 호제법 Euclidean algorithm "나머지가 0 이 될 때, 최대공약수가 보여요 " " GCD will be found when the remainder becomes 0  " 유클리드의 호제법은 일반적으로 두 자연수 사이의 최대공약수를 찾아내는 알고리즘 기법입니다. 표준교과의 범위를 벗어 나는 내용입니다만 ,  소인수로 분해하는 방법보다 빠르고 편리 하기 때문에 중, 상위 수준의 학생들이라면 알아 두면 아주 편리하고 빠르게 계산해 낼 수 있습니다. 두 자연수의 나눗셈을 하고 남은 나머지에는 ,  그 두 수의 최대공약수가 인수로 들어 있다는 원리를 활용하는 개념으로, 심화 수준의 문제 유형에서 그 원리나 응용 개념들이 종종 출제되므로 ,  보충 설명의 성격으로 게재합니다 . 이 유클리드의 기법은 두 정수나 두  다항식의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 되니 ,  상위권 학생들은 개념과 원리를 정확히 이해하고 ,  응용력도 키워두면 좋습니다 . ♧     ♧     ♧     ♧     ♧     ♧ 이번에는 ,  두 자연수를 소인수로 분해하지 않고도 ,  최대공약수를 쉽게 구해 낼 수 있는  ' 유클리드 호제법 '  을 알아 보도록 할까요 ? 우선 , 198  과  120  의 최대공약수를 유클리드 호제법으로 구하는 요령을 단계별로 설명한 다음에 그 원리를 알아...

삼각형의 닮음 Solution 42021

Solution  4 2021 1.  접은 삼각형은 서로 합동      위 1번 소제목에 링크된 페이지 설명대로, 접은 두 삼각형은   서로 합동입니다.     따라서,  Quiz 2603  문제 의 그림에서 각  DAF   =  각  DEF    =  60 ° 이고              변  AF   의  길이  =  변  EF   의  길이    = x              변  DE   의  길이  =  변  DA   의  길이    = 7  cm     또, 정삼각형 ABC  에서,              변  AB   의  길이  =  변  AD   의  길이  +   변  DB   의  길이                                     =  7  cm +   8  cm  =  15  cm      따라서, 변  EC   의  길이  =  변  BC   의...

삼각형의 닮음 Quiz 42021

이미지
Geometry Quiz 42021 ♧     ♧     ♧     ♧     ♧     ♧ Hint 1  " 접었으니까, 위 그림에서 어떤 각들의 크기가 서로 같을까요?  " Hint 2  " 닮은꼴 삼각형은  어디에 숨어 있을까요?  " Hint 3  " 닮음비는 구할 수 있나요?  " ♧     ♧     ♧     ♧     ♧     ♧ Solution   & Answer  42021

곱셈공식(3) 파스칼의 삼각형

파스칼의 삼각형 Pascal’s Triangle " 이항 곱셈공식의 계수는 외울 필요가 없어요 " " you don’t have to memorize the coefficients in binomial expansions " 오늘은 프랑스 철학자이자 수학자인 파스칼이 정리해 놓은 아주 유명하고 재미있는 파스칼의 삼각형을 소개합니다 . 파스칼의 삼각형은 이항정리의 계수를 알아내거나 삼각수 (triangular number) 등 여러가지의 특이한 숫자들의 규칙을 찾아내는 데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 중학수학에서도 두 가지의 경우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를 구하거나 , 세제곱 이상의 곱셈공식 전개식에서 계수를 알아내는 데에 아주 편리하고 재미있는 내용이므로 원리를 잘 이해해 두고 활용법을 기억해 두기 바랍니다 . ♧     ♧     ♧     ♧     ♧     ♧ 곱셈공식에서 배웠던 내용 중에서 , 두 개의 항만으로 이루어진 이항의 거듭제곱을 복습삼아 전개해 보도록 할까요 ? ( a + b ) 1 = a + b ( a + b ) 2 = a 2 + 2 a b + b 2 ( a + b ) 3 = a 3 + 3 a 2 b + 3 a b 2 + b 3 만일 4  차   이상의   이항식을 전개하면   그 계수는 어떻게 될까요 ? 이럴 때 , 파스칼의 삼각형을 이용하면 아주 쉽게 그 계수들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 아래 그림에서 보는 것과 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