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행사변형 Solution 37204

Solution  37204 1.  평행사변형의 대각      위 1번 소제목에 링크된 페이지 설명대로,  평행사변형 대각의 크기는  서로 같아요.       평행사변형의 마주 보는 두 대변은 서로 평행이니까, 마주 보는 대각의 두  꼭지점을       이어주면, 평행선의 엇각들 각각의 크기는 서로 같아요.      이 때, 서로 마주보는 대각은 두 개의 엇각들의 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니까,  각각      같은 크기의 엇각들의 합인 대각의 크기는 서로 같을 수 밖에 없지요.      즉,  Quiz 2217  문제 의 그림에서 각  ABC  와  각  ADC  는 서로  대각 으로      서로 같은  70 ° 입니다.      따라서, 이등분한  각  ADF  와  각  CDF  는 각각   35 °가 됩니다 . 2.  평행선과 동위각, 엇각      위의  소제목에 링크된 페이지에서 설명하는 동위각과 엇각을 잘 이해하셨나요?       서로 다른 두 직선이 한 직선과 만날 때, 두 직선이 평행하면 동위각의 크기는 서로      같고, 엇각의 크기도 서로 같아요.      역으로,  동위각의 크기가 서로  같거나 또는 엇각의 크기가 서로 같으면 두 직선은      평행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주어진  문제 의 그림에서 각 ...

연립일차방정식(4) 연립일차방정식의 응용(트랙)

이미지
연립일차방정식의 활용(트랙) systems of linear equations  word problem - walk ing in the same or opposite direction "같은방향인지 반대방향인지에 따라 식이 달라지지요 " " choose the formula depends on 'catch up' or in opposite direction  " 트랙에서 같은 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도는 문제유형을 어려워하는 학생이 상당히 많습니다만 , 이 유형의 문제들 역시 ,  그림의 이미지나 시각화된 다이어그램과 함께 이해하고 기억 해 두면 ,  큰 어려움 없이 자신감을 가지고 해결할 수 있습니다 . 고등과정에서 수학을 잘하는 우수한 학생들의 특징은, 어려운 개념을  영리하고 쉽게, 그림이나 다이어그램으로 도식화를 아주 잘한다 는 점입니다. [시간, 거리, 속력] 의 전형적인 연립방정식이므로  분수식  보다는 ,  [ 거리  =  속력  ×   시간 ]  의 곱셈 형태 로 식을 세워야  분수식 계산에서의 잦은 실수 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고등수학에서도 응용계산으로 결합되는 유형으로 자주 출제되니 ,  이렇게 가장 전형적인 유형들은 각각의 표준적인 해결 방법에 따라 ,  철저하게 원리를 이해하고 복습해 두어야 합니다 . ♧     ♧     ♧     ♧     ♧     ♧ 우선 , 두 사람이 트랙을 같은 방향으로 돌 때와 반대 방향으로 돌 때에 따라 , 거리 계산을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인지 , 아래 그림을 통해 자세히 알아 보도록 할까요 ? [1] 반대 방향으로 도는 경우        반대방향으로 돌 때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