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렬(8) A^3 = O 이고 A ≠ O 인 행렬




A3 = O 이고  O인 행렬
a matrix A ≠ O such that A3 = O


"특수한 행렬의 성질은
그 유도과정까지 아예 외워두는게 좋아"

" it’s better to memorize the specific properties
to be prepared for exams "










원래 행렬을 배우는 표준 수학의 본질에서는 다소 벗어나 있지만우리나라 고3의 수능이나 모의고사 문제에서는행렬의 연산에서 지나치게 어려운 유형이나 진위 유형이 자주 출제됩니다.

특히, A3 = O 인 행렬의 성질에 관한 응용 문제들은 [행렬단원의 심화 유형에서 자주 출제되고 있습니다실전 응용력을 키우기 위하여는그 결과만이 아니라 유도 및 증명과정을 완벽하게 이해하고기억해 두기 바랍니다.


현재 고 1부터는 이 [행렬단원을 개정된 표준교과에 따라배우지 않습니다만심화유형의 수열이나 벡터에서는 행렬의 기본개념이 필요하다는 점도 알아 두기 바랍니다.

 [행렬단원은  고등과정 교과표준에 따라 (2×2) 행렬을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우선 행렬의 판별식 (또는 행렬식’ 이라고  대해서 복습해 보도록 할까요?



정사각행렬 A = [ a  b 대하여실수값인 ad – bc  판별식 (또는 행렬식이라 합니다.
                     [ c  d ]

D = det(A) = | A | = ad  bc



(1) 여기서, D = ad – bc = 0  되는 행렬 A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고,
  

(2) D = ad – bc ≠ 0   역행렬 A-1  아래와 같습니다.

A-1 =  1/D [ d  b ]
               [ b  a ]



또한정사각행렬의 곱에 대한 판별식은 각각의 행렬에 대한 판별식의 곱과 같습니다.

det(AB) = det(A) × det(B)






그러면 이제, (1) A3 = O 이고 (2) A ≠ O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행렬 A  성질 관해서 공부하도록 합니다.




[ 1 ] A3 = O 이고 A ≠ O  행렬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는다왜냐하면 :


(1)  행렬이 같으면  판별식도 서로 같으므로주어진 조건식에서,

A3 = O

   det(A3) = det(O)



(2)  식의 좌변에서행렬의 곱에 대한 판별식의 성질을 이용하면,

det(A3) = {det(A)}3

   det(A3) = {det(A)}3 = det(O) = 0



(3) 그런데, det(A)  실수 값이므로, det(A) = 0. 행렬  역행렬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번에는 다른 방법인 [귀류법] 혹은 [명제의 대우]  이용한 증명을 살펴 볼까요?



(1) 만일행렬  역행렬이 존재한다고 가정하고조건식 A3 = O  양변에 역행렬을
     곱해 주면,
  
A3 × (A-1)3 = O × (A-1)3

   E = O



(2) 이는 모순이므로원래의 명제인 [A3 = O  행렬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는다
     참이 됩니다.






[ 2 ]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는다면A3 = (a + d)2 성립한다.



(1)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으면판별식 D = det(A) = ad  bc = 0  된다는 것을 앞에서
     복습했지요?



(2) 따라서앞에서 배운 [케일리-헤밀턴 정리에서,
  

A2 – (a d)A + (ad  bc)E

= A2 – (a d)A = O


   A3 = A2 x A                 

= (a + d)A x A

= (a + d)A2     

= (a + d)2A    





[ 3 ] 따라서, A2 = A3  = An = O  된다.


(1) 위의 식에 대입하면주어진 조건에서,
  
A3 = (a d)2A = O

   a d = 0   or   A = O    




(2) 따라서, A ≠ O 이라 하더라도 a d = 0  되므로,
  
A2 = (a d)A = 0 x A = O




(3) 뿐만 아니라, A ≠ O 이라 하더라도 An = O (n ≥ 2).

An = An-2 x A2

An = An-2 x (a d)A

An = An-3 x (a d)A2

An = An-3 x (a d)2A


An = (a d) n-1A

   An = 0 x A = O






그러면 하나의 공식으로 정리해 둘까요?

실전 응용력을 키우기 위하여는  결과만이 아니라 유도  증명 과정까지를 완벽하게
이해하고기억해 두기 바랍니다.



An = O (n ≥ 2) 이고 A ≠ O  행렬  대하여,

(1) A  역행렬은 존재하지 않는다

(2) An = (a d)n-1A                   
  
 (3) a d = 0                              
  
(4)    An = O (n ≥ 2)                








이와 관련된 보기 문제를 하나 풀어 볼까요?



 A5 = O 이고 A ≠ O  2 x 2 정사각행렬  대하여, A2 = O  진위 여부를 주관식
 서술형으로 판별하여라. 




(1) 위에서 공부했던 대로행렬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케일리-헤밀턴 정리 이용하면,

ad – bc = 0

   A2 = (a d)A



(2)  결과를 주어진 식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A5 = (a d)4A = O

   a d = 0

   A2 = (a d)A = 0 x A = O






               

영어번역을 함께 보시려면, 아래의 링크를 눌러주세요.

Please click the following link
to read English translation.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다항식(1) 다항식의 정의

제곱근(10) 제곱근값 구하기

함수그래프(3) 함수그래프의 대칭이동(1)